축제와행사
-
2019 서울시 일생활균형박람회 2019.10.14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에서는 서울시 일생활균형 정책과제 발굴 및 일생활균형 우수기업·시민 수상 등을 통해 일·생활균형 사회환경을 조성하고자 『서울시 일생활균형 박람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
2019 전국다문화가족 생활수기공모 2019.10.10 매일신문사는 다문화가족의 진솔한 이야기가 담긴 '전국 다문화가족 생활 수기'를 공모합니다. 생활 속에서 일어난 즐겁고 행복했던 일, 슬프고 힘들었던 일 등 기억에 남는 다양한 이야기를 한글로 적어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많은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2019 전국다문화가족 생활수기공모 ○ 응모대상 - 한국에 살고 있는 다문화가족 구성원 누구나 / 나이, 국적 제한 없음(결혼이민자 본인 및 배우자, 자녀, 부모 등)
-
2019 모두하나대축제 "우리, 함께 갈래?" 2019.09.25 이번 2019 모두하나대축제는 체험놀이, 먹거리, 공연 등 온가족이 즐길 수 있는 행사와 유익한 가족관련 복지정보, 육아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제공, 함께 나누는 육아용품 프리마켓, 함께하는 한부모가족 인식개선 캠페인 등 다채롭게 준비되어있습니다. 2019 모두하나대축제 "우리, 함께 갈래?"
-
2019 수도권 독서문화캠프 - 톡톡리딩캠프 청소년 참여 안내 2019.09.17 문화체육관광부 주관하고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주최하는 『2019 독서문화캠프 - 톡톡리딩캠프』에 전국의 청소년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문화예술강사와 현역작가, 심리상담가와 함께하는 예술, 놀이, 독서, 창작 융합 캠프! 청소년들이 소리 내어 읽고 말하며 오감으로 독서와 창작의 즐거움을 알게됩니다. 캠프기간 동안 참가자들이 완성한 창작물은 출판을 통해 정식 도서로 출간 및 배포됩니다.
-
서울시 일생활균형콘텐츠 & 수기공모전 2019.09.16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에서는 일생활균형 실천 필요성에 대한 시민공감대를 형성하고 실질적 실천을 지지하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고자 『서울시 일생활균형콘텐츠 & 수기공모전』을 실시하고자 합니다. 시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서울시 규제개혁 아이디어 공모 2019.08.26 "나의 아이디어로, 시민의 삶을 바꾸자!" 시민의 삶에 불편을 끼쳐 개선이 필요한 법령이나 제도를 찾아주세요! 규제 개선에 관심있는 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
직장맘, 직장대디를 위한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직장맘이 제안합니다!' 2019.06.28 일터와 가정을 오가며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있는 직장맘, 직장대디들을 위해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합니다. 선정되신 분께는 상품과 함께 '직장맘 소통 토크콘서트'현장에서 국회의원과 시의원에게 직접 정책을 제안하는 기회를 드립니다. 여러분의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많은 참여바랍니다!
-
서울시 1인가구 사회공감대 형성을 위한 '1인가구 포럼' 2019.06.25 서울에서 혼자사는 사람들이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 '1인가구 포럼'. 다양한 1인가구 목소리 청취와 시 의원, 서울연구원, 가족정책 팀장과 함께 하는 전문가 토론이 준비되어있습니다. 서울시 1인가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
인구의 날 기념식 및 ‘예비 아빠 도전! 육아 골든벨’ 행사 2019.06.17 제8회 인구의날을 맞이하여 예비 아빠 도전 육아 골든벨을 개최합니다. 일시: 2019. 7. 13(토) 14:00~17:00 장소: 서울시청 신청사 8층 다목적홀
-
서울특별시 후원 토탈미술관 전시 A.I 632 (After Internet 632) 2019.05.22 올더스 헉슬리는 1932년 <멋진 신세계>라는 소설에서 과학문명이 극도로 발달한 미래의 디스토피아적 세상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소설상의 시간은 A.F. 632년 즉, After Ford 핸리포드의 탄생 이후 632년으로 서기 2496년, 하나의 통일된 정부의 통제하에서 모든 것이 포드주의에 따라 자동생산되고, 극도로 발달한 기계문명에서 철저하게 통제되는 계급사회를 그리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헉슬리가 설정했던 <멋진 신세계>의 시대인 A.F.를 참조하여 인터넷발명이후 (After Internet)의 미래사회를 그려가는 과정을 예술가들과 함께 고민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