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서비스 정보
-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안심소득 시범사업' 참여가구 모집(~4/8) 2022.03.29 서울시에서 안심소득 참여가구를 모집합니다. 3/28(월)부터 4/8(금)까지 ssi.seoul.go.kr로 신청하면 되고,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이면서 재산 3억 2,600만원 이하인 서울시민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최종 500가구 선정 시 3년 동안 매월 급여를 지원하니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상담문의는 ☎1668-1735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가족보고서] 통계로 만나는 서울가족의 오늘 2022.03.24 서울시민은 비혼자가 행복할까, 기혼자가 더 행복할까? 남성과 여성은 각각 가족구성원 중 누구와 가장 친밀하다고 느낄까? 가족관계 스트레스는 어느 연령대에서 가장 높을까? 서울시민의 부부관계는? 서울가족의 오늘, 통계로 만나볼까요?
-
[서울런] 멘토링도 온라인강의도 모두 무료! 2022 서울런 이용안내 2022.03.18 2022년 서울런 이용안내 멘토링도, 인강도 모두 무료! '서울런' 많이 기다리셨죠? 2022년에도 서울런이 공부하고 싶은 학생들을 응원합니다! 지원대상 - 서울시 거주 소득기준 대상 청소년, 학교밖·다문화가족·북한이탈주민 청소년 ※ 소득기준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법정 한부모가족 ※ 재수생도 이용 가능 ▶ 연령대상: 만6세(취학연령) ~ 만24세(청소년 기본법상 청소년 상한연령)
-
[아동권리보장원] 아동정책 및 사업 자문에 참여할 '아동위원' 모집(~2/13) 2022.02.07 아동권리보장원에서는 아동 당사자로 구성된 아동정책 및 사업 자문 기구인 「아동위원회」의 제2기 아동위원을 모집합니다. 아동 관련 정책과 아동권리보장원의 사업 관련 의견 제안 등 다양한 활동에 관심 있는 아동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아동권리보장원] 아동정책 및 사업 자문에 참여할 '아동위원' 모집(~2/13) 2022.02.07 2022년 제2기 아동권리보장원 아동위원회 위원 모집 안내 아동권리보장원에서는 아동 당사자로 구성된 아동정책 및 사업 자문 기구인 「아동위원회」의 제2기 아동위원을 모집합니다. 아동 관련 정책과 아동권리보장원의 사업 관련 의견 제안 등 다양한 활동에 관심 있는 아동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사회연대은행] 개인회생 가구 아동 금융지원 '우리는 특별한 사이다' 2022.01.21 사회연대은행에서는 SBI저축은행 및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개인회생 및 파산면책으로 인해 어려움에 직면한 가정에 금융지원을 통한 아동·청소년의 안정적 생활환경을 지원하고자 아래와 같이 참여자를 모집하오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
[복지로 도움요청] 위기가구를 찾아서 알려주시면 직접 찾아갑니다! 2022.01.10 "복지 위기가구를 찾아서 알려주세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직접 찾아갑니다.
-
[복지로 도움요청] 위기가구를 찾아서 알려주시면 직접 찾아갑니다! 2022.01.10 "복지 위기가구를 찾아서 알려주세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직접 찾아갑니다. 1. '복지 위기가구'란? - 소득 감소, 실직, 휴·폐업 등 생계곤란 가구 - 자살 등 가족의 사망으로 인한 유가족 - 학대 위기 아동 - 쪽방, 고시원, 여인숙 등에 거주하는 주거취약 가구 - 중대한 질병, 장애 등 건강 문제로 도움이 필요한 가구 - 혼자 사는 돌봄이 필요한 가구 -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구 등 2. 누가 요청할 수 있나요? 도움이 필요한 당사자,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발견한 자 누구나
-
[아이돌봄 서비스] 코로나19 걱정없는 아이돌봄 서비스 2021.12.23 코로나19 걱정없는 아이돌봄 서비스를 위한 #필수방역수칙을 알아보겠습니다.
-
[아이돌봄 서비스] 상호작용도 기술이다! 건강하게 대화하기 ② 2021.12.06 상호작용에도 기술이 필요한 점, 알고 계셨나요? 건강하게 대화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아이돌봄 서비스] 코로나19 일반특례 종료 안내 2021.11.29 코로나19 일반특례 종료일정이 확정되어 안내드립니다.
-
[아이돌봄 서비스] 상호작용도 기술이다! 건강하게 대화하기 ① 2021.11.26 상호작용에도 기술이 필요한 점, 알고 계셨나요? 건강하게 대화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